2023년 1학년 해님반 9~11월 돌아보기
작성자
아라솔
작성일
2023-11-29 08:54
조회
1080
생활 |
지난 학기에 치열한 갈등상황에서 양보하는 어린이에게 주었던 ‘마음대로 쿠폰’을 더욱 정성들여 만들었다. 작은 일에도 정성을 들이도록 아이들에게도 지도했다. 마음대로 쿠폰 활동을 돌아보니 매번 양보만 하는 어린이만 받는 상황이 벌어졌다. 조금이라도 균등하게 배분될 수 있도록 추첨제로 바꾸었다. 양보뿐만 아니라 다른 행동에서도 교사가 빈도를 조절을 모든 아이들이 쿠폰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마음대로 쿠폰은 담임교사가 지원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마음대로 할 수 있다. 쿠폰을 이용하여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이 있는 경우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지난 학기에 비해 아이들의 수업태도가 자유로워졌다. 재미가 없다고 느끼는 수업에서는 자세가 흐트러진다. 반면, 재밌는 수업에서는 집중도가 비약적으로 올라간다. 신뢰의 관계가 형성되어 아이들의 긴장감이 풀어지고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 같다. 설명을 듣는 것은 재미가 없고, 무엇이든 직접 하는 것이 재밌다. 수 년 전 연구 수업 후 교감선생님의 말씀이 떠올랐다. “교사가 말을 적게 할수록 수업의 질이 올라간다.” 친절한 것이 좋은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아이들 스스로 고민하고 노력해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도 필요하다. 공부는 스스로 하는 것이다. 아이들과 마음껏 놀면서 공부도 스스로 할 마음이 생기도록 하는데 애썼다.
아침열기 |
월요일– 전체아침열기
화요일- 우리학교의 문화, 이야기 들려주기, 생일편지 쓰기
수요일- 절기 공부와 농사 준비, 형태 그리기
목요일- 몸놀이
금요일- 나들이 준비
아침열기가 5일로 되어있지만, 반에서 쓸 수 있는 시간은 이틀 밖에 없다. 학급회의와 텃밭살림 준비, 나들이를 하며 시간을 보냈다. 화요일에는 회의를 하고, 주말에 지낸 이야기를 나누고, 생일 편지를 쓰다보면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낀다. 수요일에는 텃밭살림 시간과 연계하여 아침열기 시간에 배울 내용을 다 배우면, 남은 시간은 작은 학교밖학교 시간으로 보내기도 했다. 여름 농사 때는 힘들었지만, 배추를 수확하고 나서는 수요일이 아이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날이 되었다.
말과글 |
- 누가: 1학년과 아라솔선생님
- 언제: 월요일 1교시(40분), 화요일 2,3교시(80분)
<9~11월 수업내용>
9 | 4 | 소리와 모양을 흉내 내는 말 |
<와~ 똥이다> 소리와 모양을 흉내 내는 말을 배워요. 뒤에 이어질 이야기를 상상 해봐요. |
5 | |||
11 | 여행지 공부와 여행 준비 | ||
12 | |||
18 | 학년여행 | ||
19 | |||
25 | 추석 | <명절은 어떤 날일까요?> 정성스러운 글자로 추석 카드를 써요. |
|
26 | 한가위한마당 | ||
10 | 2 | 한글날 | 하루방학 |
3 | 개천절 | ||
9 | 한글날 | ||
10 | 함께 등산 백일장 시를 낭송해요. 다양한 옛 글자를 알아봐요. 다른 글자와 비교하여 한글을 좋은 점을 찾아봐요. |
||
16 | 홀소리 (이중모음, 겹받침) |
ㅐ ㅒ ㅔ ㅖ ㅘ ㅝ ㅙ ㅞ ㅢ ㅚ ㅟ 이야기 속에서 이중모음을 찾아봐요. 말놀이를 하며 이중모음을 찾아봐요. |
|
17 | |||
23 | |||
24 |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시를 낭독하고 겹밭침을 찾아봐요. 이야기 속에서 겹받침을 찾아봐요. 말놀이를 하며 겹받침을 찾아봐요. |
||
30 | |||
31 | |||
11 | 6 | 노란양동이 | 다양한 방법으로 책을 읽어요. 이야기 속에서 날마다 일어나는 일들을 알아봐요. 시간이 지나며 변하는 인물의 마음을 알아봐요. |
7 | |||
13 | |||
14 | 김장축제 | ||
20 | 때를 가리키는 말, 색깔을 나타내는 말을 찾아봐요. 여우가 꿈을 꾼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야기 중에서 공감이 가는 부분을 함께 나눠요. 여우의 행동을 생각하며 편지를 써요. |
||
21 | |||
27 | |||
28 |
수 |
- 누가: 1학년과 아라솔선생님
- 언제: 월요일 2,3교시(80분), 수요일 3교시(40분)
<9~11월 수업내용>
9 | 4 | 측정 | 길이를 재는 우리말 단위: 뼘, 아름, 자 교실 크기 재기 |
6 | |||
11 | 세고 더하고 빼고 |
100까지 수세고 쓰기 더 큰 수 도전하기 10이 되는 덧셈식 쓰기, 셈하기 |
|
13 | |||
18 | 학년여행 | ||
20 | |||
25 | 덧셈 뺄셈 빙고 | ||
27 | 한가위한마당 | ||
10 | 2 | 하루방학 | |
4 | 몇 십과 몇 더하기, 몇 십과 몇 빼기 | ||
9 | 한글날 | ||
11 | 시계 | 1초 동안 할 수 있는 일, 1분 동안 할 수 있는 일 나의 하루와 시간 시계 읽기(정각과 몇 시 30분) 짧은 바늘, 긴 바늘, 시, 분 시계 빙고 놀이 달력 읽기-달력에서 내 생일, 친구 생일 찾기 |
|
16 | |||
18 | |||
23 | |||
25 | |||
30 | 시간 날짜 나이세기 |
한나절, 반나절, 한소끔, 그제, 모레, 글피 하루, 이틀...여드레, 아흐레 예순, 일흔, 여든, 아흔 |
|
11 | 1 | ||
6 | |||
8 | 받아 올림과 받아 내림 |
큰 수와 작은 수 부등호 더해서 10이 넘는 한 자리 수 덧셈 |
|
13 | |||
15 | 김장축제 | ||
20 | 두 자리 수와 한 자리 수 뺄셈 받아 내림이 있는 두 자리 수와 한 자리 수의 뺄셈 □를 사용한 덧셈식 |
||
22 | |||
27 | |||
29 | 도형 | 쌓기 나무로 입체도형 만들기 |
텃밭살림 |
- 누가: 1학년과 아라솔선생님
- 언제: 수요일 1,2교시(80분)
<9~11월 수업내용>
9 | 30 | 8일 백로 23일 추분 |
절기이야기(백로, 추분) 텃밭 갈기, 돌 고르기 무씨 뿌리기 텃밭에서 본 것, 한 일 그리고 쓰기 |
6 | |||
13 | |||
20 | |||
27 | |||
10 | 4 | 8일 한로 23일 상강 |
절기이야기(한로) 물주기, 솎아주기, 벌레잡기, 잡초 뽑기 절기이야기(상강) 텃밭에서 본 것, 한 일 그리고 쓰기 |
11 | |||
18 | |||
25 | |||
11 | 1 | 7일 입동 22일 소설 |
<작은 배추>그림책 읽기 절기이야기(입동, 소설) 무, 배추 수확하고 나르기 텃밭에서 본 것, 한 일 그리고 쓰기 농기구 관리하기 요리 활동 |
8 | |||
15 | |||
22 | |||
29 |
생활미술 |
- 누가: 1학년과 아라솔선생님
- 언제: 목요일 2,3교시(80분)
<9~11월 수업내용>
9 | 7 | 전통 문화 | 전통문양 딱지 만들기 |
14 | 재활용품을 이용해서 투호 만들기 | ||
21 | 학년별여행주간 | ||
28 | 추석연휴 | ||
10 | 5 | 여러 가지 선을 이용한 한글날 팝아트 | |
12 | 수채물감으로 그리기 |
수채물감의 소개와 사용법 및 정리 방법 익히기 노랑과 파랑을 충분히 느끼기 |
|
19 | 노랑과 파랑의 경계와 섞임 | ||
26 | 파랑이 노랑을 감싸는 느낌과 노랑이 파랑을 감싸는 느낌 | ||
11 | 2 | 빨강을 온전히 느끼기, 빨강과 파랑의 경계 | |
9 | 빨강과 파랑의 어우러짐, 노랑과 파랑과 빨강의 어우러짐 | ||
16 | 김장축제 | ||
23 | 그동안 그린 그림을 엮어서 이야기책 만들기 | ||
30 | 물감이 번지는 느낌을 살려 수채화 그리기 |
1,2학년 음악 |
공동체놀이 |
- 누가: 1,2학년과 아라솔선생님
- 언제: 목요일 아침열기(40분)
<9~11월 수업내용>
9 | 7 | 평균대를 이용한 놀이 |
14 | 돼지 씨름과 전통 씨름 | |
21 | 학년여행 | |
28 | 추석연휴 | |
10 | 5 | 탁구공 전달 릴레이 |
12 | 가을 운동회, 체력 검사 준비 | |
19 | 빨래 집게 모으기 | |
26 | 깡통차기 | |
11 | 2 | 그물치기 |
9 | 공 주고 받기, 도너츠 놀이 | |
16 | 김장축제 | |
23 | 원 피구, 피구 | |
30 | 병뚜껑 치기, 철딱지 만들기 |
여럿이 어울려 노는 것 자체만으로도 즐거운 수업입니다. 설명을 듣고 놀이 이름을 맞힐 때는 호기심이 솟아납니다. 다른 친구가 먼저 정답을 맞히면 속상한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운동장으로 나가면 기분이 더 좋아집니다. 놀이를 하며 발생하는 갈등으로 자기중심이 아닌 합리적으로 생각하는 법을 배웁니다. 되도록 좋은 방향으로 생각하도록 애씁니다. 이번 시간에 하지 못했던 것 보다는 해볼 수 있었던 것에 더 관심을 둡니다. 1학기 보다 갈등 상황이 크게 줄어 수업을 수월히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학교밖학교/생태교실 |
- 누가: 1학년과 아라솔선생님
- 언제: 금요일 오전
<9~11월 수업내용>
9 | 1 | 1,2학년 통합수업: 칠보산에 올라요. |
8 | 해우재 박물관에서 화장실 문화를 배워요. | |
15 | 여행 공부와 여행을 준비해요. | |
22 | 학년별여행주간 | |
29 | 추석연휴 | |
10 | 6 | 등산백일장 |
13 | 생태교실 | |
20 | 체력검사.가을운동회 | |
27 | 1,2학년 통합수업: 내가 자전거를 탈 수 있을까? 화성 행궁에 다녀와요. | |
11 | 3 | 생태교실 |
10 | 1,2학년 통합수업: 국립농업박물관에서 식물을 공부해요. | |
17 | 김장축제 | |
24 | 수원 박물관에서 전시를 관람해요. |
전체 0개